728x90 분류 전체보기93 [데이터 모델 표기법] ERD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 ERD 작성순서 데이터 모델의 표기법 ERD의 이해 ERD 표기법과 특징 데이터 모델에 대한 표기법으로 Entity-relationship model(E-R Model)는 1976년 피터첸(Peter Chen)이 만들었다. 엔터티를 사각형으로 표현하고 각각의 관계는 마름모, 속성을 타원형으로 표현하는 이 표기법은 데이터 모델링에서 이론을 나타낼 때 활용된다.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 ERD 작성순서 1) 엔터티를 그린다. : ERD는 엔터티와 엔터티 사이의 관계가 있는 정보를 나타내기에 두 개를 이용하여 작성한다. 이에 따라 Primary Key와 Foreign Key를 ERD 규칙에 따라 기술하고, 엔터티는 사각형으로 표기하여 기술한다. 2) 엔터티를 적절하.. 2021. 10. 26. [SQL] 데이터모델링에서 데이터독립성과 특징 프로젝트 생명주기(Life Cycle)에서 데이터 모델링 프로젝트 생명주기(Life Cycle)에서 데이터 모델링 Waterfall 기반에서는 데이터 모델링의 위치가 분석과 설계 단계로 구분되어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정보공학, 구조적 방법론에서는 보통 분석단계에서 업무 중심의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고 설계단계에서 하드웨어와 성능을 고려한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게 된다. 단계 특징 분석 개념,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설계 물리적데이터 모델링 개발 DB 구축, 변경, 관리 테스트 DB 튜닝 전환/이행 DB 전환 데이터 모델링에서 데이터독립성의 이해 데이터독립성이란? 상호간 영향에서 벗어나 개별 형식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을 유지시키며 그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컴포넌트 기반의 모듈 구.. 2021. 10. 25. 데이터 모델 이해하기 : 모델링의 이해와 특징 데이터 모델 이해하기 : 모델링의 이해 모델링이란? 모델링의 정의 다양한 현상을 표기법에 의해 표기하는 일로, 일정 양식에 맞춘 표현이다. 복잡한 '현실 세계'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것이나 연관된 사람이나 그룹을 위해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모델링"이라 할 수 있으며 현실 세계를 추상화해 반영한다. 모델링의 특징 1) 추상화(모형화) 2) 단순화 3) 명확화 모델링의 관점 1) 데이터 관점(Data, What)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가? 데이터 간의 관계는 무엇이 있는가? 2) 프로세스 관점 법(Process, How) 업무가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 3)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 (Data VS Process) :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 데이터 모델링.. 2021. 10. 22. Spring 컴포넌트스캔 component-scan Spring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이란? @Component 의 모든 대상을 빈에 등록하기 위해 찾는 과정으로 @Bean을 통해 하나하나 지정할 필요 없이 beans.xml 파일에 입력하면 모든 해당 파일을 인식하게 해준다. beans.xml 파일에서 설정 예시 코드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 특징 가장 앞 문자를 소문자로 바꾼 것이 빈 이름이 된다. @Component("지정할 이름") 형식으로 수동으로 지정해준다. @Component("UserService") 사용 예시 코드 package com.test; import javax.annotation.Resourc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2021. 10. 21.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의 특징과 종류 스프링 컨테이너의 종류 스프링에서는 1)BeanFactory와 이를 상속한 2)ApplicationContext 두 가지 유형의 컨테이너를 활용한다. 1).BeanFactory :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Factory BeanFactory는 스프링 설정 파일에 등록된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본적인 컨테이너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자동으로 객체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객체가 생성되는 지연로딩(Lazy-Loaing)방식으로 작동한다. - 지연로딩이란? Lazy Loading: 객체를 실제로 사용할 때 로딩하자는 것으로 객체를 실제로 사용할 때까지 최대한 불러오는 것을 늦춰 메모리 운용의 효율성을 높인다. 2).Application.. 2021. 10. 20. [스프링 프레임워크] Spring core 중 DI와 IOC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목표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보다 쉽게 구축할 수 있다. // 경량, 호환성(lib), 메시지 전송 등이 원할하기 때문이다. - 의존성 주입을 통한 유연한 프레임워크 구현할 수 있다. - "클래스, 상속, 다형성" 자바의 특징 + Springbean.xml : 뉴연산자 X, 메모리에 올려진 참조형으로 사용 beans 안에 bean 태그 알아서 참조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겠다, xml 의존해라 -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spect oriented Programming)지원 // 'AOP 공통영역/ 핵심영역' 에노테이션 제공 e.g. before/ after , 한국에서는 AOP 대신 DI를 더 사용한다. - Application의 완전한 이식성을 제공한다. - 반복적인 코드 사용을 줄.. 2021. 10. 1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728x90